2015. 6. 18. 11:05ㆍ기타
메르스(중동호흡기질환) 확진 및 격리 현황
- 확진자 총 165명, 현재 118명(72%) 치료 중, 24명(15%) 퇴원, 23명(14%) 사망 - 치료 중인 118명 환자 상태는 안정적 101명(86%), 불안정 17명(14%) - 전일대비 확진자 3명, 퇴원자 5명, 사망자 4명 증가 - 감염유형은 병원 환자 77명(47%), 가족/문병 58명(35%), 병원 관련 종사자 30명(18%) |
<1> 확진자 총괄 현황
□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6.18일 06시 현재, 메르스(중동호흡기질환) 확진자는 전날보다 3명 늘어난 165명이라고 밝혔다.
○ 치료 중인 환자는 118명(72%)으로 전날(124명)보다 6명 감소했고,퇴원자는 24명(15%)으로 5명 늘었으며, 사망자는 23명(14%)으로 4명 증가하였다. 이에 따라, 처음으로 퇴원자가 사망자를 넘어섰다.
【확진자 총괄 현황】
[단위 : 명]
구분 | 확진자 | 퇴원자 | 사망자 | 치료 중 |
누계(6.18. 06:00) | 165 | 24 | 23 | 118 (안정적 101, 불안정 17) |
전일대비 증감 | 3 | 5 | 4 | △6 |
<2> 신규 확진자 현황
□ 확진자는 전날에 비해 3명 증가하였다.
○ 163번째 확진자는 119번째 확진자가 아산충무병원에 입원한 기간인6.5~6.9일 같은 병동 의료진이었고,
○ 164번째 확진자는 75번째, 80번째 확진자가 입원 중인 삼성서울병원 같은 병동의 의료진이다.
○ 165번째 확진자는 강동경희대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이며, 현재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.
【신규 확진자 현황】
(성별, 연령)
연번 | 인적사항 | 확진일 | 개 요 |
163번째 | (여, 53세) | 6.17 | ․6.5~6.9 #119가 아산충무병원 입원 시 같은 병동 의료진 |
164번째 | (여, 35세) | 6.17 | ․#75, #80 확진자가 입원 중인 삼성서울병원 같은 병동 의료진 |
165번째 | (남, 79세) | 6.18 | ․강동경희대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(현재 역학조사 진행 중) |
□ 한편, 6.16일 확진된 162번째(남, 33세) 확진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,
○ 삼성서울병원 방사선기사로서 6.11~6.12일 72번째, 80번째, 135번째, 137번째 확진자에게 Portable X-ray를 시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.
<3> 신규 퇴원자 현황
□ 기존 확진자 중 40번째(남, 24세), 44번째(여, 51세), 59번째(남, 44세),62번째(남, 32세), 71번째(여, 40세) 확진자 등 5명이 6.17일 퇴원하여 전체 퇴원자는 24명으로 늘어났다.
○ 이들은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투여, 대증요법 등을 통한 치료를 받아왔고,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호전되어 2차례 메르스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나 완치 판정을 받았다.
○ 현재까지 퇴원자 총 24명 중 남성은 14명(58%), 여성은 10명(42%)이었으며, 연령별로는 40대 12명(50%), 50대 4명(17%), 20대 3명(13%),60대‧70대가 각각 2명(8%), 30대 1명(4%)으로 집계되었다.
【퇴원자 현황】
[단위 : 명(%)]
계 | 성별 | 연령 | ||||||||||
남 | 여 | 0~9 | 10~19 | 20~29 | 30~39 | 40~49 | 50~59 | 60~69 | 70~79 | 80~89 | 90~99 | |
24 | 14 | 10 | - | - | 3 | 1 | 12 | 4 | 2 | 2 | - | - |
(100) | (58) | (42) | - | - | (13) | (4) | (50) | (17) | (8) | (8) | - | - |
<4> 신규 사망자 현황
□ 확진자 중 31번째(남, 69세, 결핵/고혈압), 42번째(여, 54세, 기관지확장증/고혈압), 77번째(남, 64세, 고혈압/천식/괴사성췌장염/복강내감염), 82번째(여, 82세) 확진자 등 4명이 6.17일 및 6.18일 새벽 사망하여 전체 사망자는 23명으로 늘어났다.
○ 현재까지 사망자 총 23명 중 남성이 16명(70%), 여성이 7명(30%)이었으며, 연령별로는 60대가 8명(35%)으로 가장 많았고, 다음으로 70대7명(30%), 50대 4명(17%), 80대 3명(13%) 순이다.
○ 사망자 23명 중 각종 만성질환자(암, 심장‧폐‧신장질환, 당뇨, 면역저하질환 등 기저질환), 고연령층 등 고위험군이 21명(91%)으로 나타났다.
【사망자 현황】
[단위 : 명(%)]
계 | 성별 | 연령 | ||||||||||
남 | 여 | 0~9 | 10~19 | 20~29 | 30~39 | 40~49 | 50~59 | 60~69 | 70~79 | 80~89 | 90~99 | |
23 | 16 | 7 | - | - | - | - | 1 | 4 | 8 | 7 | 3 | - |
(100) | (70) | (30) | - | - | - | - | (4) | (17) | (35) | (30) | (13) | - |
<5> 확진자의 감염유형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
□ 확진자 165명을 감염유형별로 분류해 보면,
○ 병원 입원 또는 내원한 환자가 77명(47%)으로 가장 많았고, 환자 가족이나 가족 이외의 문병 등 방문객이 58명(35%), 의료진 등 병원 관련 종사자가 30명(18%)으로 각각 뒤를 이었다.
【감염유형별 확진자 현황】
[단위 : 명(%)]
계 | 병원 환자 | 가족 또는 방문객 | 병원 관련 종사자 | ||||
| 의사 | 간호사 | 간병인 | 기타 | |||
165 | 77 | 58 | 30 | 5 | 11 | 7 | 7 |
(100) | (47) | (35) | (18) | (3) | (7) | (4) | (4) |
□ 확진자들의 성별은 남성이 100명(61%), 여성이 65명(39%)이었으며,
○ 연령은 50대가 34명(21%)으로 가장 많았고, 60대 33명(20%), 40대30명(18%), 70대 27명(16%), 30대 24명(15%) 등의 순이었다.
【확진자의 기본 특성】
[단위 : 명(%)]
계 | 성별 | 연령 | ||||||||||
남 | 여 | 0~9 | 10~19 | 20~29 | 30~39 | 40~49 | 50~59 | 60~69 | 70~79 | 80~89 | 90~99 | |
165 | 100 | 65 | - | 1 | 7 | 24 | 30 | 34 | 33 | 27 | 9 | - |
(100) | (61) | (39) | - | (1) | (4) | (15) | (18) | (21) | (20) | (16) | (5) | - |
< 성별 현황 > | < 연령대별 현황 > |
<6> 격리 및 해제 현황
□ 6.18일 06시 현재, 격리 중인 사람은 총 6,729명으로 전날보다 221명(3%)늘었고,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총 4,492명으로 전일대비 541명(14%) 증가하였다.
○ 전체 격리자(6,729명) 중 자가 격리자는 5,857명으로 전날에 비해53명(1%) 줄었으며, 병원 격리자는 전날보다 274명(46%) 늘어난 872명으로 집계되었다.
【격리 및 해제 현황】
[단위 : 명(%)]
구분 | 격리 대상자 | 격리 해제자 | ||
| 자가 | 병원 | ||
누계(6.18. 06:00) | 6,729(100) | 5,857(87) | 872(13) | 4,492 |
전일대비 증감 | 221(3) | △53(△1) | 274(46) | 541(14) |
<7> 기타
□ 한편,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의뢰된 아동(남, 7세)에 대한 검사 결과, 6.17일 22시경 최종 음성으로 판정되었다.
○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1차 양성 판정 후, 질병관리본부는 아동에대한 검체 채취 등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추가로 4차례(6.13일~6.17일)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음성 판정하였다.
[붙임] 메르스 확진(퇴원/사망/치료 포함) 및 격리 현황
출처: http://www.mw.go.kr/front_new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1&CONT_SEQ=323536